Please Throw Me Back in the Ocean
solo show
April 5 - 28, 2023
+ add to my calendar
SEOUL

10 Dosan-daero 45-gil, Gangnam-gu

Perrotin Seoul is pleased to present Please Throw Me Back In The Ocean, an exhibition by Los Angeles-based painter Kara Joslyn, marking the artist's first solo presentation in Korea.


페로탕 서울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거주하며 활동 중인 작가 카라 조슬린 (Kara Joslyn)의 국내 첫 개인전 《Please Throw Me Back In The Ocean》을 개최합니다.

View of the exhibition "Please Throw Me Back in the Ocean" at Seoul Dosan park SEOUL (South Korea), 2023. Photo: Andy H. Jung. Courtesy of the artist and Perrotin.
View of the exhibition "Please Throw Me Back in the Ocean" at Seoul Dosan park SEOUL (South Korea), 2023. Photo: Andy H. Jung. Courtesy of the artist and Perrotin.

Please Throw Me Back In The Ocean includes her recent paintings that bring together the artist’s reflection on her cultural experience of living in California and her inquiry into the collective desires and memories conditioned by the consumer capitalism of Americana. Fiercely precise and remarkably illusionistic, Joslyn’s paintings—in grayscale and stark contrast—of a constellation of geometric and angular paper sculptures of seashell, compass rose, doll, mask and hook are derived from photographed images in her collection of books on paper craft.


이번 전시는 작가가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며 얻은 문화적 경험에 대한 자아 성찰과 아메리카나의 소비자본주의에 영향을 받은 집단 욕구와 기억에 대한 탐구가 결집된 회화 신작들로 구성됩니다. 지극히 정밀하고 놀라울 만큼 착시적인 작가의 회화는 회색조를 띠며 극명한 명암 대비를 보입니다. 작품 속 조개껍데기, 나침도, 인형, 가면, 고리 (hook) 등 기하학적이고 모서리진 종이 조각품들은 작가가 소장한 종이 공예 서적에 실린 사진 이미지들을 바탕으로 합니다.

Pull the hook out, please throw me back in Wherever is deepest, I can swim

— lyric from Ryan Caraveo’s Bubbles (2018)

The mixed paint, a combination of black acrylic and optical pigment powder gives the monotone a psychedelic, iridescent glimmer. Joslyn does not use any white paint; all the white in the painting is the exposed surface of the canvas. She goes one step further by turning up the contrast in favor of an overall sharp focus. As a result, the textures of many objects in her paintings seem transformed from flimsy paper to solid and weighty materials.


검정색 아크릴 물감과 홀로그램 효과를 내는 분말형 안료를 혼합해 사용함으로써 단조로운 모노톤 회화에 사이키델릭한 분위기와 무지갯빛 효과를 더합니다. 백색 페인트를 일절 사용하지 않기에 표면에 하얗게 표현된 부분은 모두 캔버스 본연의 바탕이 남겨진 것입니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전체적인 선명도 확보를 위해 명암 대비를 높인 결과, 작품에 등장하는 사물 상당수는 얇고 힘없는 종이 재질에서 단단하고 무게감 있는 소재의 물체로 탈바꿈합니다.

The composition of her painting is often straightforward, typically occupied by the frontal close-up of a single object, such as in, “mywhole world's turned amphetamine blue, now I'm livin' without you” (2023), a seashell floating in a void. However, in, “NOPE (After Magritte and Peele)” (2023), a flower looms above layers of rippling waves, the composition nods to René Magritte’s The Treachery of Images.


작품의 구도는 대부분 직관적으로, 허공에 떠 있는 조개껍데기 그림인 <my whole world's turned amphetamine blue, now I'm livin' without you>(2023)에서 보이듯 대부분 단일 사물의 전면부를 근접 묘사한 형태를 띱니다. 하지만 일렁이는 물결 위로 어렴풋이 떠오른 꽃을 표현한 <NOPE (After Magritte and Peele)>(2023)의 경우, 르네 마그리트(René Magritte)의 <이미지의 배반(The Treachery of Images)>과 그 구성이 일맥상통합니다.

Clearly relishing the painterly possibilities afforded by folded and cut white paper and its cast shadows, Joslyn works the painting out with her tight rendering technique to achieve the uncanny resemblance of the nostalgic black and white photograph. The interplay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world represented in her visual illusion and the actual material reality situate her painted image between a reproduced copy and a fragment of our collective unconscious, teasing out the profound irony in the ideological and historical construction of Americana, where the seemingly innocent vernacular culture, such as paper craft, is deeply embedded in American consumerism.


접혀지고 오려지는 흰 종이와 이에 드리워진 어두운 그림자에서 회화적 가능성을 발견하는 작가는,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흑백 사진과 묘한 유사성을 표현하기 위해 그만의 치밀한 렌더링 기술로 이미지를 구현합니다. 작가가 표현하는 시각적 환영의 세계와 실제 물리적 현실 간의 상호작용 및 충돌은 그의 작품을 재현된 이미지와 집단 무의식의 파편 사이에 위치시키며, 이를 통해 종이 공예처럼 순수해 보이는 풍토 문화가 역설적이게도 미국 소비주의에 깊이 뿌리내린 아메리카나(Americana)의 이념적, 역사적 구성의 엄청난 모순을 드러냅니다.

Love, peace and harmony? Oh very nice, very nice. But maybe in the next world. (The Decollation of Alan Watts / Grooving on the Eternal Now as Sacrament)” (2023) depicts the head of the bearded man, whom the artist interprets as Alan Watts closely grouped together with a hand lying horizontally holding a flower towards him and another hand in a vertical position. The composition that reminds the viewer of the theme of vanitas—a style of still life painting in art history, symbolizing mortality and the worthlessness of worldly goods and pleasures—speaks to an visual and emotional anxiety, reflecting the deep cynicism in contemporary life.


<Love, peace and harmony? Oh very nice, very nice. But maybe in the next world. (The Decollation of Alan Watts / Grooving on the Eternal Now as Sacrament)>(2023)에는 작가가 앨런 왓츠(Alan Watts)라고 밝히는 턱수염 난 남성의 두상 조각과 그 머리 방향으로 꽃을 쥔 채 뉘어 있는 손 하나, 그리고 세워 놓인 또 다른 손 하나가 그려져 있습니다. 죽음, 그리고 세속적 물질과 쾌락의 무익함을 나타내는 정물화의 한 장르인 바니타스(vanitas)의 주제를 상기시키는 작품 구도는 시각적, 감정적 불안감을 드러내며 오늘날 삶 속의 냉소주의를 반영합니다.

Clues are also evident in many paintings’ titles, which are lifted from various songs to hint at the underlining narratives and stimulate a synesthetic association of form and image with sound and lyric.


— Essay by Danielle Shang, Los Angeles-based curator, writer, and art historian


아울러 다수의 작품 제목에서도 관련 단서를 찾을 수 있는데, 작가는 본인이 강조하고자 하는 내러티브를 암시하고 형태와 이미지를 소리와 가사를 통해 공감각적으로 연상할 수 있도록 자극하고자 다양한 곡에서 발췌한 가사를 제목에 활용했습니다.


— 로스앤젤레스 기반 큐레이터, 저술가, 예술사학자 대니엘 샹(Danielle Shang) 글

Kara JOSLYN

Born in 1983
Lives and works in Los Angeles, USA


Kara Joslyn explores themes of storytelling and illusion through her multi-dimensional paintings. The artist’s moonlit spaces merge fantasy and reality, creating allegories of her own that are at once unsettling and inviting. Using 1950s instructional craft books and mythology as source material, she relocates domestic and decorative figures into timeless, and uncanny scenes. As appropriator, forager, and translator, Joslyn engages the viewer’s eye as trickster. Interested in illusion, she uses a mixture of powdered optical automotive paint pigments that appear holographic. Her airbrush technique — historically used in graphic design before the invention of computers — heightens the atmosphere by creating a digital-like image, combined with Caravaggio inspired lighting. Altogether, the artist's tableaux allow us to travel back and forth in time, intertwining historical symbolism with futuristic dimensionality, as well as our own unconscious. As Joslyn says, “If photography is the false index — the truth that tells a lie, I like to think of painting as the trick — the lie that tells the truth."


1983 년 미국 샌디에고 출생

미국 로스엔젤레스 거주 및 작업


카라 조슬린(Kara Joslyn)은 스토리텔링과 환영을 주제로 입체적 회화를 그린다. 작품 속 달빛이 깃든 공간은 환상 및 현실과 결합하며 불안정하면서도 매력적인 작가만의 알레고리를 형성한다. 1950 년대 공예 교본과 신화를 작업의 소재로 삼으며 가내 장식적 요소들을 시간을 초월한 독특한 형상으로 재배치해 보는 이들의 시각을 교란시킨다. 분말형 차량용 페인트 안료를 혼합하여 표현해 내는 홀로그램 효과는 작가의 환영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다. 또한 이탈리아 화가 카라바조의 빛에 영감을 받은 작가는 과거 컴퓨터가 발명되기 이전 그래픽 디자인에 사용되었던 에어브러시를 작업에 활용하여 디지털 이미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 모든 것들이 합해져 작가의 작업은 역사적 상징성과 미래의 저변, 그리고 우리의 무의식을 엮어 시간을 넘나드는 여행을 선사한다. 작가는 “만약 사진이 거짓의 지표, 즉 거짓을 말하는 진실이라면, 나는 회화를 눈속임, 즉 진실을 말하는 거짓이라 생각하고 싶다” 라 말한다.



More about the artist
List of artworks
ENTRANCE HALL
EXHIBITION ROOM 1
EXHIBITION ROOM 2